봉황 (139)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 건국 15세기 8도 서울 왕계표 경국대전 조선 건국 15세기 8도 서울 왕계표 경국대전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15세기 세계 조선 국토 조선 8도 서울 성리학 유교 이념 인 홍인물 동 의 소의문 서 예 숭례문 남 지 홍지문 북 신 보신각 종 조선 건국 신흥사대부 이성계 위화도 회군 조선건국 태종 조선 왕계표 태조 - 방원 - 세종 태조 - 방우 방과 방의 방간 방원 방연 방번 방석 방과 = 정종 방원 = 태종 태종 - 양녕대군 효녕대군 세종 성녕대군 경국대전 조선경국전 정도전 1394 경제육전 조준 1397 속육전 하륜 1412 경국대전 최향 노사신 1485 속대전 김재로 1744 대전통편 김치인 1785 대전화통 조두순 이유원 1865 고려 후기 예술 불교 성리학 대장경 기술학 고려 후기 예술 불교 성리학 대장경 기술학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고려 후기의 예술 도화원 조맹붗 송설체 유행 목판인쇄 발달 대장경 금속활자 직지심경 서적원 설치 서적 간행 수덕사 대웅전 목조건물 부석사 무량수전 목조건물 봉정사 극락전 목조건물 고려후기 변화와 대장경 의천 속장경 조판 현종 초조 대장경 조판 최우 팔만대장경 조판 고려후기 문화의 변화 성리학 안향 전래 화약 최무선 전래 목화 문익점 전래 농업 농상집요 심경법 윤작법 목면의 재배 문학 한문학 설화문학 수필문학 패관문학 불교 정치참여 사원경제 승병양성 기술학 서운관 천문 지리 태의감 의약 치료 외국어 통문관 사역원 중국어 몽고어 일본어 거란어 여진어 연구 대장경 고려말 역사 삼국유사 제왕운기 동명왕편 한문학 파한집 동국이상국집.. 고려 전기 불교 유교 문화 중세 고려 전기 불교 유교 문화 중세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고려의 불교 문화 풍수 사상 고려의 유교 문화 과거제도 국자감 고려의 예술 회화 서예 음악 상감청자 월정사8각9층석탑 관촉사 미륵불 역사 서술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실록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연려실기술 국자감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서산화 고달사지부도 갑사부도 고려 교통로 산업 무역 신분 토지 전시과 화폐 제도 고려 교통로 산업 무역 신분 토지 전시과 화폐 제도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고려 조운로 교통로 13조창 고려의 산업 고려의 신분제도 토지제도 공전 사전 전시과 제도 화폐 해동원도 건원중보 동국중보 동국통보 쇄은 소은병 저화 대외 무역 고려말 13세기 삼별초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이성계 4불가론 고려말 13세기 삼별초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이성계 4불가론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몽고의 침입 홍건적 왜구의 격퇴 고려말 친원파 권문세족 친명파 신흥사대부 충선왕 공민왕 신돈 위화도 회군 이성계 황산 대첩 1380 최영 홍산대첩 1376 최무선 진포대첩 1380 정지 관음포 대첩 1383 박위 대마도 정벌 1389 이성계의 4불가론 이성계는 요동 정벌의 반대 이유로서 4가지 우너인을 들었는데, 1) 적은 것이 큰것을 거역하는 것 2) 여름에 군대를 동원하는 것 3) 거국적으로 원정을 떠나면 왜가 그 공간을 이용한다 4) 여름철 장마가 있어 활을 쏠 수 없고 질병이 있는 것 등으로 불가한 것이라 주장하였다. 삼별초 항몽 순의비 (제주도 소재) 삼별초는 최씨 정권하의 사병 좌별초 우별초 신의군 으로서 .. 고려 정권 귀족의 난 민란 중세 고려 정치제도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광종 과거제 실시 2성6부제 거란의 침입 및 격퇴 귀주태첩 서희의 외교 활약 민란 및 고려 귀족 사회의 동요 귀족의 난 묘청의 난 1135 김보당의 난 1173 조 위총의 난 1174 무신정변 1170 이자겸의 난 1126 민란 만적의 난 1198 망아 망소이의 난 1176 전주 관노의 난 1182 이 연년 형제 1237 효심의 난 1193 김사미 패좌의 난 낙성대는 강감찬이 태어난 곳에 세운 사당 서경파와 개경파의 대립 고려 최승로의 시무책 최승로 시무책 고려사 최승로가 올린 28개조의 건의로 현재 22개조가 남아있다. 성종에게 개혁 정치를 건의한 최승로는 주로 불교를 비판하고 외관의 파견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유교와 불교의 조화를 주장하여, 불교는 수신의 근본이요, 유교는 이국의 근본이다. 수신은 내일의 것이요, 이국은 오늘의 일이니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것을 구한다는 것은 잘못이다 라 하였다. 고려 훈요십조 고려사 태조26년조 훈요십조 훈요십조는 후손이 지켜야할 정치지침으로서 태조의 사상을 기록하였으며, 고려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1) 불교숭상 2)풍수 지리설 존중 3) 장자 계승 원칙이나 추대도 가능 4) 당풍의 숭상 - 거란 배격 5) 서경 중시 6) 연등회 팔관회 중시 7) 신하의 의견 존중 요역 경감 8) 녹봉의 균등화 9) 옛것을 거울로 한 오늘의 경계 등이다. 고려 초기 통일 5도 양계 왕권 호족 고려 초기 통일 5도 양계 왕권 호족 중세 사회로의 이행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고려초기 세계 정세 11세기 고려통일 왕건 견훤 신검 후백제 신라 고려 5도 양계 고려 경기 고려 왕권 태조 정종 광종 성종 호족 사병 농장 선종 풍수지리설 훈요십조 최승로 시무책 유교 불교 발해인의 귀화 노비 안건법 과거 제도 제위보 교육제 과거제 국자감 의창 상평창 통일 신라와 발해 문화 통일 신라와 발해 문화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예술 문화 전례 고분 일본전파 발해문화의 성격은 고구려 문화의 계승 및 당문화 흡수 불국사 석굴암 다라니경 신라 탑파 감은사지탑 7세기 불국사 3층 석탑 8세기 화엄사 쌍사자 석탑 8세기 진전사지탑 9세기 신라 문화 복서삼품과 이전 1 ···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