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68)
고려 정권 귀족의 난 민란 중세 고려 정치제도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광종 과거제 실시 2성6부제 거란의 침입 및 격퇴 귀주태첩 서희의 외교 활약 민란 및 고려 귀족 사회의 동요 귀족의 난 묘청의 난 1135 김보당의 난 1173 조 위총의 난 1174 무신정변 1170 이자겸의 난 1126 민란 만적의 난 1198 망아 망소이의 난 1176 전주 관노의 난 1182 이 연년 형제 1237 효심의 난 1193 김사미 패좌의 난 낙성대는 강감찬이 태어난 곳에 세운 사당 서경파와 개경파의 대립
고려 최승로의 시무책 최승로 시무책 고려사 최승로가 올린 28개조의 건의로 현재 22개조가 남아있다. 성종에게 개혁 정치를 건의한 최승로는 주로 불교를 비판하고 외관의 파견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유교와 불교의 조화를 주장하여, 불교는 수신의 근본이요, 유교는 이국의 근본이다. 수신은 내일의 것이요, 이국은 오늘의 일이니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것을 구한다는 것은 잘못이다 라 하였다.
고려 훈요십조 고려사 태조26년조 훈요십조 훈요십조는 후손이 지켜야할 정치지침으로서 태조의 사상을 기록하였으며, 고려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1) 불교숭상 2)풍수 지리설 존중 3) 장자 계승 원칙이나 추대도 가능 4) 당풍의 숭상 - 거란 배격 5) 서경 중시 6) 연등회 팔관회 중시 7) 신하의 의견 존중 요역 경감 8) 녹봉의 균등화 9) 옛것을 거울로 한 오늘의 경계 등이다.
고려 초기 통일 5도 양계 왕권 호족 고려 초기 통일 5도 양계 왕권 호족 중세 사회로의 이행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고려초기 세계 정세 11세기 고려통일 왕건 견훤 신검 후백제 신라 고려 5도 양계 고려 경기 고려 왕권 태조 정종 광종 성종 호족 사병 농장 선종 풍수지리설 훈요십조 최승로 시무책 유교 불교 발해인의 귀화 노비 안건법 과거 제도 제위보 교육제 과거제 국자감 의창 상평창
통일 신라와 발해 문화 통일 신라와 발해 문화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예술 문화 전례 고분 일본전파 발해문화의 성격은 고구려 문화의 계승 및 당문화 흡수 불국사 석굴암 다라니경 신라 탑파 감은사지탑 7세기 불국사 3층 석탑 8세기 화엄사 쌍사자 석탑 8세기 진전사지탑 9세기 신라 문화 복서삼품과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예술 문화 과학 기술 고분 일본전파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예술 문화 전례 고분 일본전파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삼국의 고분과 예술 고구려 백제 신라 고분 분포 삼국의 과학 기술 농업 제련술 천문한 주조술 용접술 수학 역학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첨성대 성수도 쌍영총 천마총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불교 전래 불상 삼국 고구려 백제 신라 불교 전래 불상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고구려 삼론종 보덕 의연 파악 담징 혜관 혜자 신라 보덕 원광 자장 백제 혜총 관륵 도장 일라 담혜 겸익 혜현 불교의 전래 정림사지 석탑 미륵사지 석탑 부노항사 석탑 일본의 고대 문화는 백제 문화를 전수 받아 이룩되었다. 금동 관음 보살 입상 -> 일본 호류사 백제 관음상
삼국사회 고구려 백제 신라 신분 구조 제도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삼국사회 고구려 백제 신라 신분 구조 골품제도 화랑도 신라의 신분구조 골품제도 백제 관등 고구려 관등 사회적 성격 진대법 화백회의 골품제도 화랑도 신라의 행정 각부 관부 직능 화랑도 조직 화랑 승려 낭도 국선 김유신 관창 사다함 죽지 원술 화백회의
신라말 발해 발전 신라말기 발해 발전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발해 전성기 대조영 무왕 문왕 선왕 신라말 상경용천부 발해 석등 3성 6부 탐라 장보고 청해진 거란 당
신라 삼국 통일 9주 5소경 신라 통일 1989년 고등학교 역사부도 동아출판사 신라 삼국 통일 신라 전성기 8세기 이슬람제국 토번 9주 5소경 김춘추 매소성 싸움

728x90
LIST